본문 바로가기
알뜰 살뜰 정보 이야기

E-9비자 외국인 근로자, 외국인등록증 발급 방법

by 리우봉 2023. 5. 24.
반응형

고용허가제를 통해 외국인 근로자가 입국하고 나면, 국민연금, 산재보험, 건강보험 등을 신청해야 하는데 외국인등록증을 받아 외국인등록번호가 있어야 신고를 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입국일로부터 90일 이내 외국인등록을 해야 해서 외국인등록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외국인등록?

입국한 날로부터 90일을 초과해 대한민국에 체류할 외국인은 입국한 날부터 90일 이내 그 체류지를 관할하는 출입국, 외국인관서장에게 외국인등록을 신청하는 것입니다. 온라인으로 방문예약을 하고, 구비서류를 갖추어 외국인 본인이 관할 출입국 관리소에 방문하여 등록을 해야 합니다. 수수료는 현금 30,000원이며, 카드 결제시 미리 온라인으로 수입인지를 결제하고 가야 합니다.

외국인등록이 완료되면 외국인등록번호가 기재된 외국인등록증(Alien Registration Card)이 발급되며, 이 외국인 등록번호가 대한민국 국민으로 따지면 주민등록번호가 되는 것입니다. 외국인등록증을 발급받지 않고 국내 90일 초과해 거주하면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 원 이하의 벌금 혹은 강제 퇴거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만 17세 미만의 경우 부모가 외국인등록 신청을 해주어야 하며, 신청하지 않으면 200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외국인등록 방법

1. 방문예약 신청 

당일 방문을 하게 되면 번호표를 뽑고 그저 기다려야 해서 몇 시간씩 소요되었다고 합니다. 요즈음 후기를 보면 당일 방문 시, 공무원이 예약하고 예약 날짜에 오라고 돌려보내기도 한다더군요. 그래서 2021년부터 온라인으로 방문예약을 신청이 시작되었고, 예약 후 출입국관리사무소에 방문해야 합니다. 

하이코리아 방문예약 신청방법 ↓↓↓

2. 예약일에 구비서류와 수수료(3만원)를 지참해, 외국인 본인이 방문하여 지문등록하고 서류 접수

보통 은행 ATM기계가 있어, ATM을 통해 수수료를 냅니다. 

3. 검토 후 며칠~ 몇 주 뒤 방문수령 or 등기수령

방문수령 선택 시 문자가 오는 것을 기다렸다가 교부받으러 가면 되고, 등기수령 선택 시 외국인등록할 때 등기우편료(4천 원)를 미리 납부하고 등기번호를 받아둔 뒤 우체국택배로 받으면 됩니다. 

 

외국인등록 신청 구비서류

외국인종합안내센터 ☎1345에 전화를 하면 비자에 따른 필요서류를 알려줍니다. 한 번에 연결이 안 되는 경우가 많아 끈기가 조금 필요하기에 제가 안내받은 E-9 비자용 기본 서류를 알려드리겠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하이코리아 홈페이지 '정보광장'에서 체류자별 통합 안내 매뉴얼을 다운로드하여 확인해 볼 수도 있습니다.

  • 여권 원본 및 사본
  • 컬러 표준규격사진(3.5 x 4.5) 1매
  • 통합신청서(별지 34호)
  • 체류지 입증 서류(임대차계약서, 숙소제공확인서, 체류기간만료예고통지문, 공공요금납부영수증 등)
  • 외국인 직업 신고서
  • 표준근로계약서 사본
  • 고용허가서 사본
  • 사업자등록증 사본, 농축산업의 경우 농업경영체 등록(변경등록) 확인서
  • 법무부 지정병원에서 발급받은 마약검사확인서(봉인제출, 3개월 이내 발급 분) -> 입국 시 단체 검사했다면 생략가능

부모님 사업장에 외국인 근로자를 고용했고, 곧 외국인 등록신청을 하러 갈 예정이라 글을 작성해보았습니다. 외국인 등록 방법 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외국인 노동자 고용방법, E-9(비전문취업)비자 고용허가제 신청방법

 

외국인 노동자 고용방법, E-9(비전문취업)비자 고용허가제 신청방법

저는 부모님께서 농장을 운영하시는데 한국인들이 기피하는 업종이다 보니 외국인 노동자를 고용했었습니다. 캄보디아와 네팔 출신의 친구들을 고용했었고 코로나 등 재해 사정으로 관두었다

bbsoo.tistory.com

 

반응형

댓글